|
|
|
|
|
|
|
 |
> 여성건강센타> 자궁근종클리닉> 월경과다/생리통 |
|
|
 |
|
 |
월경과다/생리통 |
 |
월경과다란? |
 |
|
월경이 지속 일수가 일주일 이상이고 출혈이 지나치게 많고 핏덩어리가 나오기도 하는 증상을 월경과다라고 합니다. |
|
일주일 이상 월경이 지속되거나 하루에 10개 이상의 생리대 혹은 템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정상적인 생리 출혈이 아닌 과다 출혈입니다. 이를 임상적인 용어로 월경과다 라고 부릅니다.
|
 |
월경과다의 증상 |
 |
 |
치료방법 |
 |
약물(호르몬)요법 |
|
낮은 용량의 먹는 피임약이나 다른 종류의 호르몬을 복용하여 체내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과도한 우러경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외과적 수술 없이 과도한 월경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복용이 요구되며 이로 이해 두통, 두른거림,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없습니다. |
 |
확장소파술 (D&C) |
|
약물(호르몬)요법이 효과가 없을 때 첫 번째로 사용하는 외과적인 방법입니다. 자궁 내벽을 수술용 기구로 벗겨서 제거하면 과도한 월경이 경감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개 몇 번의 월결 주기 동안만 출혈이 경감되며 시간이 지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확장 소파술은 전신마취 하에서 외래 진료실에서 시술합니다. |
 |
자궁적출술 |
|
자궁적출술은 과도한 월경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과적 수술 방법입니다. 자궁 전체를 적출하느냐 혹인 부분적으로 적출하느냐에 따라 몇 가지 유형의 자궁적출술이 있습니다. 자궁 적출 시에 난소를 제거하게 되면, 수술 후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으로 바로 실시하더라도 초경 증후군(예를들면 섬광, 불면증, 우울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자궁 적출술은 과도한 월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거해 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수술은 회복 시간이 매우 깁니다. 월경과다 치료 방법을 경정하기 이전에 전문의는 섬유종과 같은 자궁 내 질환이 있는지를 먼저 파악한 후 각종 검사를 통해 수술이 적합한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월경과다 치료는 자신이 가장 편안하게 생각하는 방법과 그리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와 전문의가 월경과다 치료법에 대해 상의할 때는 해당 치료법이 현재 혹은 미래의 임신가능성에 영향을 줄지를 심사숙고 해야 합니다.
|
|
- 월경과다 치료가 지급 혹은 앞으로 임신능력에 어떤영향을 끼치는가?
- 얼마 동안의 휴식이 필요한가?
- 해당 요법으로 인해 다양한 치료가 요구되는가?
- 해당 치료법의 잠재적 부작용들은 무엇일까?
|
|
 |
생리통(월경통) |
 |
원발성 생리통 |
|
자궁 및 난소에 별다른 이상 없이 발생하는 통증으로서 배란주기가 시작되면서 발생합니다. 원인은 프로스타글란딘(PG)에 의한 자궁 평활근의 과도한 긴장과 허혈을 일으키는 자궁 혈관의 수축입니다 증상은 하복부 중앙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경련성 통증으로서 하부 요추(요통)또는 다리로 방사통이 되기도 합니다 |
 |
속발성 생리통 |
|
속발성 생리통은 통증을 유발하는 골반 내의 해부학적 원인이 있는 것으로서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자궁내 장치 등이 있습니다. |
|
 |
생리전 증후군(PMS) |
|
다양한 종류의 정신적, 신체적, 혹은 행동적 증상이 생리 주기와 더불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의 복합체를 말합니다 |
|
PMS-불안형(anxiety) |
|
불안하고 안정되지 못한 상태로 신경성 긴장이 월경주기 중간부터 나타나며 증상은 감정 동요, 긴장, 흥분, 불안 등을 동반하며 높은 에스트로젠 상태 및 낮은 프로게스테론 상태입니다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
|
|
|
|
PMS-수분저류형(Hyperhydration) |
|
수분 저류로 인하여 체중 증가, 사지 부종, 유방통, 복부 팽만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과도한 알도스테론(수분 저류와 관련된 신장 호르몬)이 분비가 원인이다 |
|
|
|
|
PMS-식욕 증가형(craving) |
|
식욕이 증가하여 단맛을 열망하여 상당히 많은 양의 정제된 정제된 설탕을 먹고, 두통, 피로감, 어지럼증, 심계항진 기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결국 탄수 화물 섭취 증가 와 프로스타글란딘 E1-type 음식(생선, 견과류, 씨앗) 섭취 감소가 나타 난다 |
|
|
|
|
PMS-우울형(depression) |
|
우울증, 위축감, 건망증, 혼돈, 정신 산란, 언어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이런 경우 가족에 의해 병원을 방문 하게 되며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낮은 에스트로젠 상태와 높은 프로게스테론 상태이며 발모과다 와 남성 호르몬 증가가 나타납니다 |
|
|
|
|
|
|
|
|
|
|
|